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61)
데이터 베이스 1(Database) Database System : DB , DBMS 등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system DBMS(DataBase management Systems) : DataBase를 관리해주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(ex - MySQL , Oracle...) (DBMS밑에 운영체제) 필수 기능 : 1. 정의 기능 -> DDL(Data Definition Language) : (CREATE , DROP , ALTER) 2. 조작 기능 -> DML(Data Manipulation Language) : (SELECT, INSERT, DELETE, UPDATE) 3. 제어 기능 -> DCL (Data Control Language) : (GRANT-권한 부여, REVOKE-권한 회수) TCL(Transaction //) -> C..
백준 17779번: 게리맨더링 2 (C++) 문제 링크 : www.acmicpc.net/problem/17779 1. 이차원 배열을 순차 탐색하며 기준점과 d1,d2를 정해준다. 2. 기준점부터 왼쪽으로 내려가는 좌표와 오른쪽으로 내려가는 좌표를 나누어서 탐색한다. 3. 행마다,,, 1~lefty 는 왼쪽 영역, lefty ~ righty 는 가운데 영역, righty ~ n 까지는 오른쪽 영역 으로 구분해서 채운다. (아랫부분일때는 증가방식을 반대로 한다.) 4. 5영역의 경계선이 없는 행들도 다 채워준다. 5. 1,2,3,4를 반복한다. 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 int map[22][22]; int n; int go_left[2] = { 1,-1 }; int go_right[2] = { 1,1 }; ..
메모리 (Memory) 레지스터 ,캐시 -> HW관리(CPU) 메인 메모리, 보조기억장치 -> SW관리 (OS) Block : 보조기억장치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단위 (1~4KB) Word : 레지스터와 주기억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 단위 (16~64bits) running 마다 주소 재설정) (명령어 실행 순간 결정) (대부분의 OS가 사용) Fragmentation (단편화) -> 낭비되는 메모리 - 내부 단편화 : pratition 크기 > process크기 - 외부 단편화 : 남은 메모리 크기 > process크기 Continous Memory Allocation (연속 할당) -> 하나의 process를 떨어뜨리지 않고 연속해서 올림 - Fixed partition (FPM) : 메모리를 미리 고정된 크기로..